전체메뉴
  • 캠페인
  • 후원
  • 나눔문화활성화
  • 사랑의 열매
기부하기 회보 신청

사랑의열매는

나누는 기쁨, 희망과 행복 -
사랑의열매를 소개합니다.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광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 박철홍입니다.

1998년 설립된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국민의 성금으로 마련된 재원을 효율적이고 공정하게 관리·운용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건전한 기부문화 활성화를 통한 민간 복지 선진화와 지역사회 복지 문제의 자주적 해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우리 광주는 위기상황 및 위축된 경제상황에도 늘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는 숭고한 이웃사랑 정신을 보여주었습니다. 공동모금회가 발전할 수 있도록 성원해주신 광주시민 여러분과 기업 그리고 복지발전을 위해 늘 헌신해주신 사회복지 종사자 여러분 모두가 함께하기에 광주 사랑의 온도는 늘 뜨겁습니다.

공동모금회에 보내주신 여러분들의 사랑은 각계의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공정성, 효율성, 투명성을 원칙으로 엄정한 배분심의 과정을 거쳐 노인, 장애인, 소년소녀가장 등 우리 사회의 돌봄이웃들이 도움이 필요로 하는 분야를 끊임없이 연구하고 지원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광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돌봄이웃을 생각하는 모두의 마음이 더 큰 사랑과 희망으로 전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시 한 번 광주시민 여러분 모두의 이웃사랑에 감사드리며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광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박철홍 회장

박철홍

사랑의열매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사랑의열매

우리나라에는 사랑의열매 있습니다.

세 개의 빨간 열매는 나, 가족, 이웃을 상징하며,
열매의 빨간색은 따뜻한 사랑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진 줄기는 더불어 함께 사는 사회를
만들어가자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랑의열매는 나와 가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이웃에게 사랑을 전하자는 나눔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사랑의열매'를 캠페인 상징으로
연말연시는 물론 연중 이웃돕기 캠페인을 펼치고 있으며,
사랑의열매는 현재 우리 국민에게 이웃사랑의 상징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01가족 02나 03이웃
백당나무와 사랑의열매
현재 과거

우리나라에서 사랑의열매는 1970년 초부터 수재의연금과 불우이웃돕기 성금을 모금할 때 보건복지부 산하 이웃돕기추진운동본부에서 사랑의열매를 “상징”으로 사용해왔으며, 사랑의열매 형태는 우리나라 야산에 자생하고 있는 산열매를 형상화했습니다.

2003년 2월, 산림청에서 매월 선정하는 '이달의 나무'에 백당나무를 선정하면서 『사랑의열매』를 언급하여 화제가 되었습니다. 산림청은 "나·가족·이웃이 사랑의 마음으로 하나가 되자는 “사랑의열매”처럼 겨울 눈꽃사이로 달린 백당나무의 빨간 열매는 이 추운 계절에 우리 주위를 돌아보는 따뜻한 마음과 이웃사랑에 대한 실천의 상징을 닮고 있다” 고 설명했고, 이후 사랑의열매와 많이 닮은 나무로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있습니다.

백당나무 이미지

조직소개

광주지회는 1998년 4월 6일

사회복지공동모금법의 발효를 앞두고 5명의 설립준비 위원이 위촉되면서 광주지역공동모금회 설립준비위원회가 가동되어 정관을 마련하고 5월과 6월에 걸쳐 초대 이사회를 구성하였다.

7월 15일에 열린 창립총회에서 박선홍 초대회장과 임원진을 위촉하고 명예회장 및 고문을 추대했으며, 모금회 사무국 현판식을 갖고 역사적인 첫발을 내디뎠다.

1999년 4월, ‘사회복지법인 광주지역공동모금회’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이 대체입법 됨에 따라 독립법인으로서 짧은 활동기간을 마감하고 전국 단일법인인 ‘사회복지법인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광주광역시지회’로 전환되어 활동을 이어갔다. 지회의 전환에 따라 법인이사회는 운영위원회로 대체되어 안정적인 조직활동 체계를 모두 갖추고 활동을 가속화했다.

공동모금 첫해인 1999년에 총 8억9천5백여만원을 모금하여 관이 주도하던 전년도에 비해 모금액이 늘어나 시민1인당 모금액이 16개지역중 1위를 차지하여 민간모금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켰으며 2005년에는 22억8천5백여만원, 2010년에는 41억3천8백만원, 2012년에는 57억6천6백만원,2020년에는 112억5천8백만원, 2023년에는 106억6천3백만원, 2024년에는 118억 4백만원을 모금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갔다.

이렇게 모금된 성금은 광주지역에 있는 생활보호대상자 및 저소득 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사회복지기금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국민의 복지 증진을 위한 일이 마땅히 정부가 해야 하지만, 정부의 경우는 하는 일은 방대하고 경직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정부의 손길이 미처 뻗치지 못하는 경우의 대상자를 찾아서 지원하고 있으며, 지역의 복지욕구를 적극 수렴하여 기획사업을 추진함으로써 광주지역 사회복지 지원사업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현재 광주지회는 연말연시에 집중되는 일회성 성금모금 방식에서 벗어나 ARS모금사업, 자선바자회, 빛고을시민1%나눔운동 등 연중 이웃돕기 모금운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모금방식을 개발하여 공동모금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와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자원개발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CI소개

1CI
    • 심벌마크의 빨간색은 사랑의 마음을 나타내고 있다. 자신, 가족과 이웃을 상징하는 세 가지 열매로 구성되어 있다.
    • 로고타입은 심벌마크와 함께 사랑의열매 CI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 로고타입은 심벌마크와 기타 다른 디자인 요소와의 조화와 가독성을 고려하여 특별히 개발된 것으로 그 사용에 있어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사랑의열매 한글과 영문 로고 타입 이미지
  • Signature (시그니처 조합)
    • 아래 예시된 시그니처는 높이 H 기준으로 시각적 비례에 맞게 로고타입 및 마크 크기를 규정하였다.
    • 이 조합은 사랑의열매 각 지회가 공통된 비례로 사용하여야 하며 색상, 위치 간격, 공간 등을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
    • 다만 불가피한 매체의 경우에는 CI관리 담당부서와 협의하여 조정한다.
    사랑의열매 로고 시그니처 조합 이미지
2COLOR
  • Main Color
    Main Color
  • Sub Color
    Sub Color

(*지회로고 포함)

걸어온길

  1. ~ 2024

    1. 2024. 02

      희망2024나눔캠페인 폐막
      아너 소사이어티 171,172,173 가입

    2. 2024. 01

      튀르키예 피해 지원 특별모금
      광주지방 경찰청-굿네이버스 업무협약

  2. 2023

    1. 2023. 12

      희망2024나눔캠페인 출범

    2. 2023. 11

      나눔명문기업 6호, 9호 가입

    3. 2023. 09

      복지현안우선지원사업비 지원

    4. 2023. 07

      보훈가족 사랑나눔 지원사업 연합모금 협약

    5. 2023. 04

      연합모금 성과보고회 및 배분금 전달

    6. 2023. 03

      튀르키예 피해 지원 특별모금

  3. 2022

    1. 2022. 06

      골드클래스(주) 박철홍 회장 광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제13대 회장 취임

    2. 2022. 03

      우크라이나 전쟁 피해 지원 특별모금
      경북, 강원 산불 피해 지원 특별모금

  4. 2021

    1. 2021. 12

      희망2022나눔캠페인 출범
      대한민국 양궁 국가대표 안 산 선수 나눔리더 가입
      광주사랑의열매-광주광역시청-광주은행 탄소포인트 기부은행 업무협약

    2. 2021. 06

      광주광역시 사회백신 나눔캠페인

  5. 2020

    1. 2020. 12

      희망2021나눔캠페인 출범

    2. 2020. 02

      코로나19 특별모금

    1. 2019

      1. 2019. 12

        광주 아너 소사이어티 100호 돌파

      2. 2019. 11

        희망2020나눔캠페인 출범

      3. 2019. 09

        나눔명문기업 1호 가입

      4. 2019. 03

        세계수영선수권대회 기부캠페인

    2. 2018

      1. 2018. 11

        희망2019나눔캠페인 출범

      2. 2018. 05

        다스코 한상원 회장 광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제11대 회장 취임

    3. 2017

      1. 2017. 12

        광주 아너 소사이어티 9명 단체 가입

      2. 2017. 11

        희망2018나눔캠페인 출범

    4. 2016

      1. 2016. 12

        광주 아너 소사이어티 50호 돌파

      2. 2016. 11

        희망2017나눔캠페인 출범

      3. 2016. 10

        광주공동모금회 전국 최우수 지회 선정

      4. 2016. 09

        광주 아너 소사이어티 회원의 날 개최

    5. 2015

      1. 2015. 11

        희망2016나눔캠페인 출범

      2. 2015. 02

        광주사랑의 온도탑 38억8천4백만원 모금, 1999년 이후 최고 모금액 달성

    6. 2014

      1. 2014. 11

        희망2015나눔캠페인 출범

      2. 2014. 05

        우리아이 첫 기부 광주 1호 탄생

    7. 2013

      1. 2013. 12

        희망2014나눔캠페인 출범

      2. 2013. 05

        광주지역 착한가게 300호점 돌파

    8. 2012

      1. 2012. 12

        광주 부부 아너 소사이어티 1호 탄생
        희망2013나눔캠페인 출범

      2. 2012. 05

        호반건설 김상열 회장 광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제9대 회장 취임

    9. 2011

      1. 2011. 11

        희망2012나눔캠페인 출범

      2. 2011. 10

        나눔문화 확산 세미나, 사회공헌포럼 개최

      3. 2011. 07

        광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 시민감시위원 9명 위촉

    10. 2010

      1. 2010. 12

        희망2011나눔캠페인 출범

      2. 2010. 04

        그린장례식장 김영관 회장 광주 아너 소사이어티 1호 회원 가입

      1. 2008

        1. 2008. 11

          제6기 운영위원 및 분과실행위원 선임(회장 조건국)

      2. 2006

        1. 2006. 11

          제5기 운영위원 및 분과실행위원 선임(회장 조건국)

      3. 2004

        1. 2004. 11

          제4기 운영위원 및 분과실행위원 선임(회장 고제철)

      4. 2003

        1. 2003. 10

          사무실 이전(광주 동구 금남로5가 129 송원빌딩 13층)

      5. 2002

        1. 2002. 11

          제3기 운영위원 및 분과실행위원 선임(회장 고제철)

      6. 2000

        1. 2000. 11

          제2기 운영위원 및 분과실행위원 선임(회장 박선홍)

        1. 1999

          1. 1999. 03

            사회복지공동모금회광주지회로 전환

        2. 1998

          1. 1998. 12

            전국 및 지역공동모금회 첫 ‘연말집중모금’ 전개

          2. 1998. 08

            광주지역공동모금회 설립
            제1기 운영위원 및 분과실행위원 구성 (초대회장 : 박선홍)

          3. 1998. 07

            사회복지공동모금법 발효

        찾아오시는길

        사랑의열매 광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61639)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 398, 전남매일 3층
        • 대표번호: 062)222-356
        • 대표팩스: 062)222-5911
          • 사직공원 앞 정류장 하차

            * 사직공원 앞 정류장 이용 가능한 버스번호

            금남55
          • 전남매일에서 하차